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.
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,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안성 버스 35

덤프버전 :

||


파일:안성35_8000.png
파일:20191117_093135.jpg

1. 노선 정보
2. 개요
3. 역사
4. 특징
5. 시간표
6. 연계 철도역



1. 노선 정보[편집]


파일:안성시 CI_White.png 안성시 일반시내버스 35번
기점경기도 안성시 석정동((구)안성터미널)종점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백암리(백암터미널)
종점행첫차11:00기점행첫차11:50
막차17:00막차17:50
배차간격1일 3회
운수사명백성운수인가대수1대
노선(구)안성터미널 - 서인사거리 - 봉산로터리.안성시청 - 안성종합버스터미널 - 안성종합운동장 - 마전초교 - 동아방송예술대학교 - 삼죽 - 율곡리 - 석천리 - 장평삼거리 - 장계리 - 백암중.고교 - 백암터미널

파일:안성시 CI_White.png 안성시 일반시내버스 35-2번
기점경기도 안성시 삼죽면 용월리(삼죽)종점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백암리(백암터미널)
종점행첫차06:40기점행첫차07:05
막차21:00막차21:20
배차간격1일 6회[1]
운수사명백성운수인가대수-[2]
노선삼죽 - 덕산산업단지 - 율곡리 - 석천리 - 장평삼거리 - 장계리 - 백암중.고교 - 백암터미널


2. 개요[편집]


안성에서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백암터미널까지 운행하는 노선이다. 덕산리, 율곡리, 장평리, 근삼리를 경유한다.

안성 구터미널에서 출발하는 35번과 삼죽에서 출발하는 35-2번으로 구분되며, 둘다 같은 35번 고정차량으로 운행한다. 전체 정류장 목록


3. 역사[편집]


  • 과거엔 황석리마을회관에 들어갔다 나오는 35-1번이 있었다. 이 노선이 생기면서 기존 35-1번은 35-2번으로 밀려났다.

  • 2016년 8월 16일에 35-1번이 폐선되었으며, 현재는 105번이 대신 들어간다.

  • 2017년까지 녹이 슬고 낡은 로얄미디로 운행했지만 카운티로 바뀌었다.


4. 특징[편집]


  • 안성 구터미널에서 삼죽을 거쳐 백암까지 가는 35번은 하루 3회밖에 없고 나머지는 모두 삼죽에서 출발하는 35-2번이다.
만약 백암으로 넘어가야 한다면 안성에서 37, 370, 380번을 타고 삼죽에서 내려서 삼죽농협 건너편 정류장으로 이동하면 된다. 또는 다소 돌아가더라도 죽산까지 가서 좀 더 자주 다니는 10-1번으로 환승하는 방법도 있긴 하다. 아니면 안성시내에서 22-1번을 타고 용인까지 가서 백암가는 버스로 갈아타는 방법도 있다.

  • 35번은 동아방송예술대학교앞을 경유하기 때문에 통학시간에는 대학생 수요가 어느 정도 있다.[3]


5. 시간표[편집]


안성 버스 35번, 35-2번 시간표
2023년 7월 3일 기준 / 출처
횟수안성삼죽백암비고
1-06:4007:0535-2번
삼죽농협 건너편에서 승하차
2-07:2508:00
3-08:3009:10
411:0011:2011:5035번
513:0013:2013:50
6-15:3016:0035-2번
삼죽농협 건너편에서 승하차
717:0017:2017:5035번
8-20:0020:3035-2번
삼죽농협 건너편에서 승하차
9-21:0021:20


6. 연계 철도역[편집]


없음.


파일:CC-white.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-12-07 22:11:10에 나무위키 안성 버스 35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.


[1] 안성. 구터미널에서 안성시내만 경유 후 삼죽까지 직통운행 후 백암터미널까지 완행하는 구간도 있으나 현재 코로나로 인해 일부 시간대 삼죽-백암터미널 구간만 왕복운행[2] 35번 차량으로 운행[3] 다만 이 노선의 배차시간이 엇갈리고 37, 370, 380번 세 노선의 인지도가 훨씬 크기 때문에 이용률은 상대적으로 낮다.